물리학이라고 하면 자연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학문이다.
힘과 운동에서는 힘을 주면 어떤 그 물체는 '움직이고 운동한다'. 움직이면 힘을 얼마를 줬을 때 어느 속도로 움직이느냐. 그다음에 물체가 움직이면 그것이 서로 부딪혔을 때, 충돌했을 때 '충격량(운동에너지)'을 다룬다.
[배울 순서]
1. 물질세계
- 매우 큰 스케일의 세계
- 매우 작은 스케일의 세계
- 물리학
2. 운동의 기술
- 과학의 시작
- 물리량과 측정
- 위치벡터와 변위벡터
- 속력과 속도
- 가속도
3. 특수상대성 이론
- 우주의 중심과 상대속도
- 특수상대성이론
- 로렌츠 변환
잠깐 퀴즈!
ㅁ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항성은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이다.
2. 원자의 주요 구성 요소는 양성자, 중성자, 전자이다.
3. 물리량 속도와 가속도는 벡터량이다.
4. 거리와 시간은 항상 절대적인 물리량이다.
정답 4
해설 거리와 시간은 상대적인 물리량이다.
1_1 매우 큰 스케일의 세계
천체와 우주에 대한 인간의 인식 변화
천동설(수백 년 전까지)
– 2세기 프톨레마이오스에 의해 체계화됨
– 인간이 사는 무한히 평평한 대지가 우주의 중심이며, 태양을 포함한 모든 천체가 지구를 중심으로 돈다고 생각함
지동설(16세기)
– 케플러와 갈릴레오와 같은 과학자가 등장하면서 우주와 인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시작함
– 지구는 우주에 존재하는 수많은 별 중의 하나인 태양이라는 별의 주위를 도는 행성(떠돌이별)임을 알게 됨
항성, 행성, 위성
항성 :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 (별, 붙박이별)
•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 (전리층으로 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맑게 빛나는 구형 천체
• 중심핵이 충분히 뜨거워지면 수소 중 일부가 핵융합 작용을 통해 헬륨으로 전환됨
• 별은 삶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면 대부분 폭발하면서 블랙홀(black hole)과 같은 특이한 상태의 천체가 됨
행성 [태양계 행성] :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면서 항성 주위를 도는 천체
• 태양계는 별이라 부를 수 있는 태양과 태양에 속해 있는 지구, 금성, 목성 등의 행성들로 이루어져 있음
위성 : 행성 주위를 도는 천체
• ex) 지구 주위를 도는 달
은하계(galaxy)
• 태양은 10개 가량의 행성을 거느리는 별
• 은하계는 수많은 별들의 집단
• 은하계를 이루는 수많은 별들은 한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원판 모양을 이룸
은하단(galaxy cluster)
• 은하계들이 서로 어울려 만들어짐
• 은하단을 이루는 은하계들은 서로 매우 멀리 떨어져 있음
• 은하계들도 자신이 속한 은하단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회전운동을 함
초은하단(supercluster of galaxies)
• 은하단들이 모여 거대한 집단을 이룸
천체의 스케일
태양 기준(지름을 1이라고 가정함)
• 지구의 지름 : 0.01
태양계 기준(태양계의 크기를 1이라고 가정함)
• 태양과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 : 10,000
지구의 스케일 : 지구 반지름=6,400km
• 지각(땅 껍질) 중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 산(8,848m) 지구 반지름의 1/700
• 지표면이 아무리 험해도 지구를 커다란 공에 비유하면 표면이 아주 매끈한 공과 같음
1_2 매우 작은 스케일의 세계
▐ 원자의 세계
영국의 과학자 돌턴의 원자설
– 원자는 쪼갤 수 없고, 다른 원자로 변환, 소멸, 생성되지 않는다는 가설
영국의 과학자 톰슨의 전자 발견
– 음극선 실험
영국의 과학자 러더퍼드의 행성모형
– 알파입자산란실험
– 원자 중심에 양전하 입자가 모여있고 그 주위를 전자가 공전하는 모형
덴마크의 과학자 보어의 원자 모형
– 양자개념 도입(전자가 각기 다른 에너지를 가지는 층에 존재한다는 모형)
오스트리아의 과학자 슈뢰딩거의 파동함수
– 전자를 파동으로 다루어 전자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동함수(슈뢰딩거 방정식)를 발표함
– 물질의 이중성을 입증함
독일의 과학자 보른의 확률함수 – 슈뢰딩거 방정식을 전자가 존재할 확률함수로 해석함
– 현대의 원자모형
▐ 원자의 질량 : 너무 작아서 저울로는 측정 불가함
- 원자 단위 : 1원자 단위는 1u(unit)로 나타냄
- 탄소 원자핵의 질량을 12 u로 정한다.
물질의 양 몰(mol)로 나타냄
물질 1몰 : 물질을 이루는 분자의 분자량이 M이라 할 때, M그램(g)만큼의 양
ex) 수소 분자 : 분자량은 2u이므로, 수소 1몰이란 수소 2g을 뜻한다.
> 모든 물질의 1몰은 아보가드로수 만큼의 원자로 이루어진다.
> 아보가드로수 = 6×10^23 [1/mol]
▐ 분자의 세계
물질 : 원자들의 덩어리
• 원자의 전기적 특성으로 서로 당기는 힘이 작용함 (덩어리 유지)
원자의 특성
> 결합성이 낮은 원자
- 다른 원자와 결합하지 않는다. (헬륨He, 네온Ne)
> 결합성이 높은 원자
- 다른 원자와 결합하여 유지된다. (대부분의 물질이 분자 상태이다.)
1. 폴리머(polymer, 중합체)
나무토막이나 고무같이 생명체에서 온 물체들의 구성으로 매우 긴 사슬 모양의 거대한 분자(고분자)
2. 유기 분자(organic molecule)
- 생명체를 이루는 분자로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진 거대한 분자임
- 대부분 탄소(C) 원자를 포함함
3. 자연에 존재하는 분자 :
- 물 분자
4. 인공 분자
- 인공 감미료
물리학의 정의
물질을 이루는 가장 기본 단위 입자에서부터 천체에 이르기까지 물질세계 속의 모든 것들에 대한 학문임 → 자연과학의 기초 [화학, 생물학, 공학(engineering)도 포괄적으로 물리학에 포함됨]
물리학의 목표
생명체를 포함하는 자연의 기본 현상을 이해하는 것
정신세계를 포함한 물질세계의 모든 현상을 이해하는 것
물리학의 한계
현재 수준
1 생명 현상을 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없음
2 인간뿐 아니라 바이러스, 박테리아, 굼벵이의 행동조차 예측하지 못함
3 생명체 정의의 어려움
4 객관적 측정의 어려움
–인간의 정신세계는 경제학, 심리학, 철학, 문학, 법학, 신학 등
인문 · 사회과학의 모든 분야가 포함되며, 정신세계는 물질세계에서 생겨났지만 물리학의 범주에 벗어남
5 실체를 알아내기 어려움
–생명체세계가 아닌 단순한 물질세계 안에서조차 자연의 기본 현상을 이해한다는 것은 어려움
물리학에서 수학이란?
의미를 전달하는 언어 수단
관성의 법칙(뉴턴의 운동 제1법칙)
•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 모든 물체가 일정한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함 (갈릴레오의 발견)
• 힘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물체는 일정한 운동 상태를 유지함
관성기준계
- 기준계 : 관측자에 따라 물체의 운동이 다르게 보인다.
- 관성 기준계 : 우리가 운동을 기술하는 지표면 기준계 , 달리는 기차에 있는 관측자의 기준계
기본 물리량(국제 단위계)
• 국제 도량형총회에서 정함
• SI(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물리량 | 단위 |
길이 | m(미터) |
질량 | kg(킬로그램) |
시간 | s(초) |
전류 | A(암페어) |
온도 | K(켈빈) |
물질의 양 | mol(몰) |
광도 | cd(칸델라) |
표준 시간 (WTF... ㄷㅁㅊ...)
세슘(Cs)의 한 동위원소에서 나오는 빛이 9,192,631,770번 진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1967년 국제도량형총회)
▐ 위치벡터
특정 위치의 표현
• 방향과 거리를 사용함
벡터와 스칼라
• 벡터(vector) : 크기와 방향을 가진 물리량 - 굵은 글씨체나 화살표를 얹어 표시함 : q ,
• 스칼라(scalar) : 크기만 가지는 물리량
위치벡터
• 기준점에 대해 크기와 방향을 나타낸 물리량
▐ 벡터의 연산
덧셈 연산
뺄셈 연산
▐ 벡터의 표시 방법
▐ 변위벡터
변위(displacement) : 위치의 변화량
위치벡터의 차로 나타남
Q. 지구 표면에 매우 가까이 붙어서 도는 인공위성은 지구 한 바퀴를 도는 데 약 90분이 걸린다. 지구 반지름이 약 6,400km라고 할 때, 위성의 속력 v는?
속력과 속도
– 속력 : 시간 구간 동안 이동한 거리, 스칼라량
– 속도 : 벡터량(속력+방향), 평균속도(구간 변위), 순간속도(순간 변위)
– 직선운동 : 순간속도, 평균속도
– 직선운동의 등속도 운동
: 방향이 변하지 않고 일정한 속력을 유지하는 운동으로 평균속도와 순간속도가 같음
가속도
– 가속도 : 시간에 따른 속도의 변화량 평균가속도, 순간가속도
– 직선운동의 가속도 : 등속도, 가속도
– 등가속도 운동 : 가속도가 일정한 운동, 속도가 일정한 기울기로 증가
우주의 중심과 상대속도
– 운동의 기준 : 두 기차의 운동과 관측자의 기준 (기차, 지표면, 지구 중심, 태양 중심, 은하 중심, 우주 중심)
– 상대속도 : 절대속도(우주의 중심 기준), 상대속도(관측자 기준), 갈릴레오 변환(두 기준계에서 위치벡터의 관계)
– 상대가속도 : 두 기준계에서 측정한 속도는 다르지만 가속도는 같음
– 마이켈슨-몰리의 실험 : 지구가 에테르라는 매질 속을 운동한다면 빛의 간섭 실험으로 운동속도를 측정하려는 실험 (간섭현상 발견 못함)
– 특수상대성이론 : 절대기준계는 존재하지 않고, 진공에서 광속은 관측자와 무관하게 언제나 일정하다는 가정에 기초한 이론
– 시간 늘어남 현상 : 운동하는 계에 있는 시계는 정지한 계의 시계보다 더 느리게 감 (ex : 뮤온)
– 길이 수축 현상 : 광속으로 이동하는 관측자가 지상 관측자 간의 측정 거리가 다름을 설명하는 방법
– 동시성 : 시간이 절대적이지 않고 상대적인 양임
로렌츠 변환
– 상대속도의 오류 : 갈릴레오 변환은 절대적인 시간으로 가정하여 광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오류 발생
– 로렌츠의 변환식 : 계 간에 시간이 다름을 반영함
– 상대론에서의 상대속도 : 계 간에 시간이 다름을 반영함
– 상대론에서의 길이 정의 : 움직이는 물체는 정지한 물체보다 길이가 짧아짐
참고 문헌
이기영(2011). 생각하며 배우는 대학물리학. 한빛아카데미.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이화여대, 충남대, 한양대 공역(2017). 일반물리학 1, 2. 범한서적.
대학물리학교재편찬위원회 역(2017). 대학물리학 I, II. 북스힐.
'대학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에너지와 운동량 (1) | 2021.03.13 |
---|---|
2. 힘과 운동 / 만유인력의 법칙, 뉴턴의 운동 제 2법칙 (0) | 2021.03.12 |